티스토리 뷰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결함이 없는 석재를 시공토록 되어 있으나 현관 바닥 및 욕실 젠다이 등에 설치되어 있는 대리석 오염 및 파손등이 발생되어 대리석의 내구성 저하와 미관의 저해가 있다면 결함이 발생된 부위의 대리석을 철거한후 재시공 하여야 한다.

세대 욕실 휴지걸이 탈락 및 수건걸이 탈락 등의 욕실내 금구류 하자가 발생되어 있다면 입주민의 생활환경과 불편함에 폐를 끼치는 것이므로 기계설비시방서의 위생기구설비공사 장비품 설치규정에 따라 결함이 발생된 부위를 보수하여야 한다.

 

현관바닥은 폴리싱 타일로 되어 있고 건축표준 시방서의 기준에 바닥 타일 붙이기 및 보양 및 청소에 의하면 바닥 모서리 구석과 기타 부분의 물매에 유의하여야 하며 타일의 마감 작업후 균열 및 치핑, 깨어짐, 접착불량 등이 없도록 깨끗하게 설치가 완료 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한다라고 명기되어 있으니 바닥 볼리싱 타일 결함 부위에 대하여 철거후 재시공하여야 한다.

 

단열재의 설치에 의하염 단열재 이음부분은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접착제 및 테이브를 사용하거나 단여보강을 한다라고 되어 있지만 단열재 설치불량등으로 각 방에 접합부에 설치된 단열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결로 및 곰팡이 발생 방지를 위해 접합부 벽체 마감재를 일부 철거 하고 틈발생 부위를 보수하여 충분히 건조후 다시 도배를 하여야 한다.

 

대피공간 및 발코니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결로가 발생하는 경우 외부의 저온과 실내의 고온의 열전달이 직접 이루어지는 관계로 특히 겨울철에 결호하자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곰팡이 발생으로 문제가 된다면 결로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 바탕처리한후 단열페인트 등으로 보수하여야 한다.

 

세대 욕실내 환기팬 미가동시 위, 아래 세대의 흡연등이 환기팬의 배관을 타고 역류되어 악취가 발생되어 있다면 준공도면 및 시방서를 확인하여 역류방지 댐퍼를 각세대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공통라인으로 배기되기 때문에 역류방지 댐퍼를 설치하지 않는 다면 위, 아래 세대의 냄새가 들어올수 있다.

 

세대분전반 apu 차단기 트립으로 인해 원인을 알수 없는 정전이 계속 발생되고 있다면 차단기 트립의 원인을 찾기위해 as팀원들이 현장을 방문하여 원인을 찾아 해결해야 한다.

 

주방후드의 퍽퍽거리는 소음이 발생한다면 세대내와 옥상상부 배기 출구의 압력차에의해서 순간적으로 세대의 공기가 빨려 들어가거나 들이차면서 주방후드의 플랩이 급격하게 닫히거나 열리는 소음으로 이는 후드플랩을 풀어서 보수가 가능하니 as 조치되어야 한다.

 

문틈이 과도하게 발생된 경우 문짝을 교체하는 것이 좋겠지만 법적인 규정상 문틈은 6mm이하는 정상이며 6mm이상 10mm이하는 미세모설치로 막음조치 할수 있으며 10mm이상이 된다면 오토씰을 설치하여 마감할수 있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규정이기 때문에 문짝을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방문 경첩 소음 및 녹발청으로 인하여 불편함이 있다면 경첩을 교체 받을수 있다. 경첩은 열리고 닫힘을 반복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열과 마찰 감소를 위하여 구리스등을 도포하는데 흘려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 같은 끈끈이를 섞어 주기 때문에 끈끈이가 떨어지면서 소음을 발생시킨다. 또한 물이 가까이 있는 경첩에는 녹 발청이 있는데 이는 교체 받거나 스페어로 추가 요구 할수 있다

댓글